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3

설치장소별 헤드의 수평거리 설치장소별 헤드의 수평거리 무대부,특수가연물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 수평거리 1.7m이하 기타구조 : 수평거리 2.1m이하 내화구조 : 수평거리 2.3m이하 랙크식 창고 : 수평거리 2.5m이하 아파트 : 수평거리 3.2m이하 2022. 7. 8.
성능시험배관 성능시험배관 1. 가압송수장치에는 정격부하운전 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배관을 설치한다. 다만, 총압펌프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한다. 3.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65%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2022. 7. 7.
옥내소화전 방수구 설치기준 옥내소화전 방수구 설치기준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한다. 2.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는 25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 이하이다. 3.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이하이다. 4. 호스는 구경 40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25mm)이상의 것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 물이 유효하게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한다. 5.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그 노즐에는 노즐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할 것 6. 노즐의 구경은 13mm이다. 2022. 7. 6.
가압송수장치 가압송수장치 1. 기동용수압개폐장치(압력챔버) :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그 용적은 100L이상의 것으로 한다. 2. 물올림장치 : 주기능은 펌프의 후드밸브 고장으로 펌프실 및 흡입관 내의 물이 수조로 빠져 내려가면 펌프를 작동시켜도 물이 흡입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 후드밸브에서 펌프 임펠러까지 항상 물을 충전시켜 펌프가 작동하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대비시켜 주는 장치이다.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탱크를 설치해야 하며, 탱크의 유효수량은 100L이상으로 하되, 구경 15mm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해당 탱크에 물이 계속 보금되도록 한다. 3. 순환배관 및 릴리프밸브 : 가압송수장치에는 체절운전 시 .. 2022. 7. 5.
옥상수조 제외할 수 있는 경우 옥상수조 제외할 수 있는 경우 1.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2.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설비 3. 수원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4. 건축물의 높이가 지표면으로부터 10m이하인 경우 5.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동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전원을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 6.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설비 *기동용수압개폐장치(압력챔버) 1.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2. 기동용수압개폐장치(압력챔버)를 사용할 경우 그 용적은 100L이상의 것으로 한다. 2022. 7. 4.
소시생 기록 시작. 5월 퇴사하고 컴활공부 및 한국사를 시작으로 소방공무원 준비에 돌입했다. 주위에는 몇몇에게만 공부한다고하고 자세히는 얘기안하고 있는 중! 개론, 법규, 행정법 가즈아~ 2022. 7. 4.
728x90
반응형